
UI 구성요소 설계 • 사용자 환경에 적합하도록 시각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다. • 시각적 특성에 맞게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. • 사용자 경험에 따른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각적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. 1. 사용성(Usability) 사용성이란 사용자가 제품·시스템에 대한 사용 방법을 얼마나 빠르고 쉽게 배울 수 있는 지, 얼마나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등과 같은 사용의 용이성을 의미한다. 사용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인터 페이스 디자인을 평가하는 핵심 요소가 된다. 따라서 사용성은 배우고 사용하고 기억하기 가 쉬워야 한다. 실수를 일으키지 않고, 원하는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여 개인적 만족 감, 성취감이 높아야 하며 사용자의 경험과 직..

디자인 가이드 구성 • 서비스, 제작물의 통합적인 아이덴티티를 고려하여 디자인 가이드를 조합할 수 있다. • 디자인 요소 중 심미적 요소를 활용하여 조형적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다. • 트렌드 분석을 통해 전략적인 콘셉트를 확보할 수 있다. 1. 콘셉트와 트랜드 1.1 디자인 리서치(Design Research) 디자인을 기획하기 전에 과학적 연구의 방법과 도구를 기반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 는 활동이다. 영국 왕립예술대학의 크리스토퍼 프레이링(Sir Christopher Fryling) 경은 디 자인 리서치를 3가지의 중요 분류로 제안하였다. (1) 디자인에 투입되는 리서치 전통적이고 역사적이며 심미적인 디자인과 예술에 대한 연구 활동을 말한다. (2) 디자인을 통한 리서치 프로젝트 중심의 소재와..

정보설계 • 프로젝트 관련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. • 인터페이스(interface) 필요 요소와 항목들을 분석할 수 있다. • 전체적인 와이어 프레임(wire frame)을 작성할 수 있다. 1. 디자인 가이드를 위한 스토리보드 1.1 스토리보드의 구성 • 스토리보드는 표지, 개정 이력, 화면 설계, 서비스 흐름도의 구성으로 하며, 프레임의 사 용 여부와 메뉴의 구성 위치, 콘텐츠의 위치 등 전체적인 화면 구성을 보여 주어야 한 다. 이 때 메뉴 구성을 포함한 페이지의 구성은 디자인 요소 중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 지하게 된다. • 각 페이지의 정보를 요약하며, 저장될 디렉터리, 파일 이름, 페이지 타이틀 등을 메모하 듯이 작성한 후 링크 정보를 정리하여 작성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..